‘핵융합 신규 프로젝트’ 추진···인공태양 기술 확보 – Nuclear fusion project gets KRW 1.2T to harness ‘artificial sun’

▲ 대전 유성구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에 구축된 한국형 초전도 핵융합 연구장치 ‘KSTAR(케이스타)’의 모습. The KSTAR is a magnetic fusion device for superconducting nuclear fusion at the Korea Institute of Fusion Energy (KFE) in Daejeon's Yuseong-gu District. (KFE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 대전 유성구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에 구축된 한국형 초전도 핵융합 연구장치 ‘KSTAR(케이스타)’의 모습. The KSTAR is a magnetic fusion device for superconducting nuclear fusion at the Korea Institute of Fusion Energy (KFE) in Daejeon’s Yuseong-gu District. (KFE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한국 정부가 ‘인공태양’으로 불리는 핵융합 기술 개발 및 인프라 구축을 위해 1조2000억 원 규모의 신규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A new government project worth KRW 1.2 trillion seeks to develop energy from nuclear fusion, dubbed the “artificial sun,” and related infrastructure.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주재로 제20차 국가핵융합위원회를 열어 이같은 내용을 담은 ‘핵융합 에너지 실현 가속화 전략’을 의결했다고 22일 밝혔다.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on July 22 at a meeting of the National Nuclear Fusion Committee chaired by Minister Lee Jong Ho said this in announcing a resolution on a strategy to speed up the harnessing of fusion energy.

핵융합은 태양에서 에너지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모방해 중수소와 삼중수소의 핵융합 반응으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탄소를 배출하지 않을뿐만 아니라 고준위 방폐물을 발생시키지 않아 탈탄소 시대의 핵심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Nuclear fusion imitates the principle behind the sun’s energy output, which comes through the fusion reaction of deuterium and tritium. This emits no carbon and does not produce high-level radioactive waste, so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core energy source in the decarbonization era.

정부는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역량을 확보해 탈탄소 시대 에너지 안보·주권의 핵심축으로 도약한다는 정책 목표를 설정했다. 이를 위해 기술 혁신, 산업화, 생태계 등의 3가지 기본 방향을 중심으로 민관 협력을 통한 핵융합 기술 혁신, 핵융합 에너지 산업화 기반 구축, 핵융합 에너지 혁신 생태계 조성이라는 3대 전략과 9가지 핵심 과제를 수립했다.

The policy goal is to secure the ability to take the early lead in the commercial application of such energy and take a major step forward as a linchpin of energy security and sovereignty in the carbon-free era.

To this end, the committee set three major strategies and nine main tasks focused on the three fundamental direction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dustrialization and ecosystem including fusion technology innovation via private-public cooperation, setup of the basis for industrialization of such energy and creation of an innovation ecosystem in the field.

민관 협력과 관련해서는 민간의 우수한 엔지니어링 역량과 공공의 핵융합 기술 역량을 결합하는 ‘퓨전 엔지니어링 혁신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디버터 및 증식블랭킷 등 핵심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In private-public cooperation, the government will promote a project for innovating fusion engineering that combines the outstanding capacities of private engineering and public fusion technology. It will also support the development of core know-how such as diverters and breeding blankets.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핵융합로의 표준 운영 기술을 개발하는 한편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핵융합로 운전상태 모니터링 기술을 개발해 극한 환경에서 운전하는 핵융합로의 상태를 원격 진단하는 기술도 개발한다.

To remotely diagnose fusion plants in extreme environments,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be used to develop the standard operating technology for the reactors and technology to monitor their operations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이와 함께 한국형 초전도 핵융합 연구장치인 ‘케이스타(KSTAR)’ 설계·건설 경험으로 확보한 기술력과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등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쌓은 해외 네트워크를 활용해 해외 연구장치 건설 사업 수주를 지원한다.

By utilizing the technology gained through the planning and construction of the KSTAR, a domestic research device for superconducting fusion, and a network abroad formed through joint global research such as the 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 (ITER), the ministry will support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for research devices.

See also  여름 불청객 모기에 덜 물리는 방법 - How to get bitten less by mosquitoes, unwelcomed guests of the summer

핵융합 인력수요 확대 대응을 위한 전문인력 확보·양성을 위해서는 대학의 핵융합 전공 및 과목을 신설·확대하고, ITER와 연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확충한다. 해외 우수연구자 유치와 정착을 위해 인건비 제도개선, 유치기관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등도 적극 검토할 계획이다.

Domestic universities will either launch or expand nuclear fusion majors and subjects and boost education training linked to ITER. This is to secure and develop highly skilled personnel to respond to rising demand for workers in the sector. Improvements to the personnel cost system will be studied and incentives for host institutions will seek to attract outstanding foreign researchers and have them settle here.

이 장관은 “핵융합에너지는 에너지 문제 및 전력수요 증가 문제의 해결책으로 미래에는 핵융합에너지 기술을 확보한 나라만이 세계 에너지 시장을 주도할 수 있다” 면서 “민관 협력 중심의 연구개발 전환과 핵융합 생태계 강화를 통해 핵융합에너지를 조기에 확보해 에너지 패권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겠다”고 강조했다.

“Fusion energy is a solution to energy problems and rising demand for electricity, so only countries with the technology to create such energy can lead the global energy market,” Minister Lee said. “We will secure leadership in the competition for energy hegemony by acquiring fusion energy in the early stage by shifting the focu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o public-private cooperation and reinforcing the nuclear fusion ecosystem.”

박혜리 기자 hrhr@korea.kr
By Park Hye Ri, hrhr@korea.kr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