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컬처 연수 비자·대중교통 단기권 도입···정부, 입국에서 출국까지 편의 개선 – New cultural visa, transit pass to boost tourist convenience

0
15
▲ 한국 정부가 외국인 관광 소비 촉진 및 장기 체류 유치를 위해 제도 개선을 추진한다. 사진은 지난 13일 서울 종로구 경복궁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들이 기념 촬영을 하는 모습. The government seeks to have foreign visitors spend more and stay longer in the country. Shown are tourists on June 13 posing for photos at Gyeongbokgung Palace in Seoul's Jongno-gu District. (Yonhap News - 연합뉴스)
▲ 한국 정부가 외국인 관광 소비 촉진 및 장기 체류 유치를 위해 제도 개선을 추진한다. 사진은 지난 13일 서울 종로구 경복궁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들이 기념 촬영을 하는 모습. The government seeks to have foreign visitors spend more and stay longer in the country. Shown are tourists on June 13 posing for photos at Gyeongbokgung Palace in Seoul’s Jongno-gu District. (Yonhap News – 연합뉴스)

한국 정부가 K-팝 연수 희망 외국인에게 ‘K-컬처 연수비자’를 발급하고 ‘단기 대중교통 승차권’을 도입하는 등 외국인 관광객 여행 편의를 위한 제도 개선에 나선다. A cultural training visa for K-pop fans from abroad and a short-term transportation pass will seek to raise convenience for foreign visitors.

정부는 17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이같은 내용의 ‘외국인 방한 관광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A meeting of economy-related ministers on the morning of June 17 at Government Complex-Sejong in Sejong announced these and other measures to stimulate tourism in the country.

이에 따라 정부는 먼저 방한 관광객의 입국 절차 불편 해소를 위해 현재 50명 수준인 전자여행허가(K-ETA)의 단체관광객 일괄신청 범위를 확대하고 여권 자동판독(OCR) 기능을 도입한다.

To minimize inconvenience when foreign sightseers enter the country, the scale of tour groups for the Electronic Travel Authorization, aka K-ETA and now at 50 people, will be raised.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will also be adopted for passport screening.

장기 체류 외국인 유치를 위해 K-팝 연수 희망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K-컬처 연수비자’가 시범 운영된다. 이와 함께 ‘지역특화형 디지털노마드 비자’의 도입도 검토된다. 디지털노마드 비자는 해외 원격근무자가 한국에 와서 업무를 하는 동시에 지역 관광을 함께 즐기며 장기 체류할 수 있는 워케이션(Workcation) 비자다.

See also  한국의 장례 - Korean funerals

To get foreign visitors to stay longer, the pilot operation of the “K-culture training visa” will target those visiting Korea to receive K-pop training. Under consideration is a digital nomad visa according to region for “workcation,” or work and vacation, to allow remote workers a longer stay to travel in the provinces while doing their jobs.

지방공항과 해외도시 간 직항 노선도 확대한다. 올해 하반기에는 부산-자카르타, 청주-발리 노선을 신설하고 대구와 울란바토르를 잇는 노선의 운항 횟수를 늘릴 예정이다. 필리핀 등 방한 수요가 많은 국가와는 운수권 신설 및 증대를 지속 협의한다.

The number of direct flights between provincial airports with cities abroad will also rise. In the second half of the year, new routes linking Busan and Jakarta, Indonesia, and Cheongju, Chungcheongbuk-do Province, and the Indonesian resort island of Bali will be launched. Flights between Daegu and Ulaanbaatar, Mongolia, will be added, and talks with countries with high demand for travel to Korea such as the Philippines will continue on creating and expanding transportation routes.

방한 관광객들의 여행 편의도 개선될 전망이다. 한국고속철도(KTX) 16개 역사에서는 호텔까지 짐을 배송해주는 서비스를 실시하고 출국 전 공항 밖에서 개인 수하물을 미리 위탁하는 ‘이지 드랍(Easy Drop)’ 서비스 제공 지역도 확대한다. 인천공항에서 환승 관광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관광객에게는 어댑터와 보조배터리 등 환영 선물을 제공한다.

Foreign tourists can also expect higher travel convenience. Sixteen stations of the high-speed rail KTX will launch a service of delivering luggage to a traveler’s hotel, and the “easy drop” service, which checks in personal luggage outside of airports before a passenger’s departure, will be expanded. Welcoming gifts such as plug adapters and battery power packs for smart devices will go to visitors using a transit tour program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See also  K-라이스벨트, 아프리카 6개국서 첫 결실 - First results seen in K-Ricebelt Project's 6 nations in Africa

아울러 외국인 관광객이 많이 사용하는 국내 지도 어플리케이션(앱)에서는 주요 방문지의 한국어 후기를 영어, 중국어 등으로 번역해 제공한다. 해외 신용카드로 모바일 앱에서 충전 가능한 외국인 전용 교통카드를 입국 비행편에서 판매하고, 국내 주요 도시에서 외국인 관광객이 사용할 수 있는 단기 대중교통 승차권을 도입한다.

Domestic map apps frequently used by foreign visitors translate user reviews of major destinations written in Korean into English and Chinese. Foreign passengers on inbound flights to Korea can buy a mobile public transit pass exclusively for them using credit cards issued overseas. A short-term transportation card for foreign visitors will be also introduced in major cities nationwide.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색다른 여행 콘텐츠를 제공하고 쇼핑 편의도 개선한다. ‘치맥’, ‘즉석사진’ 등 한국인의 일상을 즐기는 ‘K-라이프스타일’ 체험 프로그램을 활성화한다. 출국 때 내국세 환급을 쉽게 받을 수 있도록 면세품 반출확인 모바일 서비스 제공을 7개 지방공항까지 확대한다.

Other measures include creating unique travel content and improving shopping convenience for travelers from overseas. The forthcoming interactive program “K-lifestyle” will have travelers experience daily life in the nation such as “chimaek” (chicken and beer) and instant photo booths. A new mobile service for custom clearance of duty-free goods will be expanded to seven provincial airports for easier tax refunds by foreign visitors when they depart.

정부는 방한관광 인식 제고를 위해 민관 합동점검반을 가동하고 숙박, 교통 및 음식 등 관광서비스 품질 개선에도 힘쓸 예정이다. To raise awareness of tourism in the country, a joint public-private monitoring team will be launched and the quality of tourist services such as lodging, transportation and food is scheduled for upgrades.

See also  난지도의 변화와 월드컵 공원 - Nanjido and World Cup Park

박혜리 기자 hrhr@korea.kr
By Park Hye Ri, hrhr@korea.kr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