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country’s weapons exports to NATO member states over the past five years are second only to those of the U.S. 한국이 최근 5년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에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무기를 수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Thus Korea is an emerging power in the global weapons sector due to swift delivery and competitive pricing.
신속한 납기와 경쟁력 있는 가격을 앞세운 K-방산이 세계 무기 시장의 신흥 강자로 부상했다는 평가다.
The British weekly Economist on Aug. 31 said this in quoting a report in March by the Sweden-based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Trends in International Arms Transfers, 2024.” Korea tied with France from 2020-24 for second place in arms exports to NATO member countries with 6.5% each.
스웨덴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가 지난 3월 발간한 ‘국제 무기 거래 동향 2024’ 보고서에 따르면 2020~2024년 나토 회원국 대상 무기 수출 점유율에서 한국은 프랑스와 함께 6.5%를 기록하며 공동 2위에 올랐다.
The U.S., the world’s top arms exporter, was No. 1 on the list with 64%, while Korea ranked 10th and saw its share rise from 2.1% to 2.2%.
세계 최대 무기 수출국인 미국이 64%로 1위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한국은 전 세계에서 10번째로 무기를 많이 수출했다. 전 세계 무기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1%에서 2.2%로 증가했다.
By weapon, Korea was the world’s biggest supplier of tanks and artillery, surpassing the U.S., and placed third in fighter jets after the U.S. and France. The Economist added that Korea and Turkiye (Turkey) are emerging as arms exporters while Russia and Europe are declining in the sector.
품목별로는 탱크와 야포 등에서 한국이 미국을 제치고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숫자를 인도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투기 분야에서는 미국과 프랑스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영국 이코노미스트는 “러시아와 유럽이 주춤한 사이 한국과 튀르키예가 신흥 무기 수출 강국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지난달 31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Russia has prioritized reconstruction of its military due to equipment losses from the war in Ukraine, and Europe has not fully recovered its output capacity since a reduction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장비 손실을 입어 자국 군대 재건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으며 유럽은 냉전 종식 이후 축소된 생산 능력을 아직 완전히 회복하지 못한 상황이다. 반면 한국은 긴밀한 민관 협력과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폴란드와 수조 원 규모의 K2 전차, K9 자주포 계약을 체결하며 입지를 확대해 가고 있다.
Korea, however, has used its private-public cooperation and price competitiveness to conclude deals worth trillions of KRW with Poland for K2 tanks and K9 self-propelled howitzers.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의 해양(군함), 항공(전투기) 분야 수출도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실제로 최근 캐나다 잠수함 사업에서 한화오션·HD현대 컨소시엄은 독일 기업과 최종 후보로 경쟁 중이다. 한국 KF-21 전투기의 동유럽, 걸프만, 남아시아 수출 가능성도 제기된다.
The Economist also forecast Korea’s naval (warships) and aviation (fighter jets) exports to grow. A consortium of Hanwha Ocean and HD Hyundai Consortium is competing with a German company as the finalists for a submarine project in Canada, and exports of Korea’s KF-21 fighter jets are possible to Eastern Europe, the Gulf region and South Asia.
Though indicating growing competition, the weekly said Korea’s defense exports in 2022 broke an estimated USD 17.3 billion (KRW 24 trillion) and are expected this year to reach USD 23 billion (KRW 32 trillion).
이코노미스트는 “2022년 한국의 방산 수출은 173억 달러(약 24조 원)를 돌파했고 올해 230억 달러(약 32조 원)에 이를 것으로 보이지만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By Kim Seon Ah, sofiakim218@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