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라이스벨트, 아프리카 6개국서 첫 결실 – First results seen in K-Ricebelt Project’s 6 nations in Africa

0
22
▲ 아프리카 우간다에서 고품질 다수확 벼 종자를 수확하는 모습. A farm in Uganda shows the harvesting of high-quality Korean rice varieties with high yield.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 농림축산식품부)
▲ 아프리카 우간다에서 고품질 다수확 벼 종자를 수확하는 모습. A farm in Uganda shows the harvesting of high-quality Korean rice varieties with high yield.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 농림축산식품부)

한국이 K-라이스벨트 사업을 활용해 아프리카 6개 국가에서 처음으로 고품질 다수확 벼 종자를 수확했다. The K-Ricebelt Project of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has harvested for the first time high-quality Korean rice varieties with high yield in the six African countrie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와 농촌진흥청은 지난해 시작한 K-라이스벨트 사업을 통해 가나(330톤), 감비아(180톤), 세네갈(66톤), 기니(1119톤), 카메룬(111톤), 우간다(515톤) 등 아프리카 6개 국에서 고품질 다수확 벼 종자 총 2321톤을 처음으로 수확했다고 25일 밝혔다.

Launching the project last year, the ministry along with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on March 25 said 2,321 tons of such varieties have been harvested in Ghana (330 tons), Gambia (180), Senegal (66), Guinea (1,119), Cameroon (111) and Uganda (515).

K-라이스벨트는 쌀 생산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아프리카 국가를 대상으로 벼 종자 생산단지를 조성해 수확량이 많은 벼 종자를 생산, 농가에 보급하는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이다.

The project is part of Korea’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to help African countries highly dependent on rice imports due to lack of domestic output, enabling farmers there to produce and supply high-yield varieties of high quality.

이번 수확한 종자 물량은 사업 참여국과 협의를 거쳐 농가에 보급하거나 아프리카 취약계층에게 제공된다. The harvested rice will go to farmers or the underprivileged in each country after consultations with the participating nations.

농식품부는 향후 현지 종자 생산 규모를 확대해 오는 2027년까지 연간 1만 톤의 다수확 벼 종자를 생산할 계획이다. 아프리카 인구 3천만 명에게 안정적으로 식량을 공급하는 것이 목표다. The ministry will expand annual rice production in Africa to 10,000 tons by 2027, enough to stably feed 30 million people on the continent.

이에 따라 올해부터는 생산단지 내 경지 정리, 용·배수로 설치, 농로 정비 등을 본격 착수할 예정이다. 가나, 세네갈, 케냐 등 주요 거점국에 ‘공적개발원조 데스크’를 설치해 전문 인력도 파견한다.

For this purpose, the ministry from this year will start arranging farmland within the rice production area, installing water drains and maintaining farm roads. It will also set up “ODA desks” in key African partner countries such as Ghana, Senegal and Kenya and dispatch experts there.

정혜련 농식품부 국제협력관은 “이번에 생산된 종자가 아프리카 식량안보 혁신의 씨앗이 되도록 K-라이스벨트 사업을 빈틈없이 관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Chong Hairyon, director-general of the ministry’s International Cooperation Bureau, said, “We will thoroughly manage the K-Ricebelt Project so that the results of this harvest act as the seeds of innovation for food security in Africa.”

오금화 기자 jane0614@korea.kr
By Wu Jinhua, jane0614@korea.kr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